8.10 광주대단지 사건, 해방 이후 최초의 대규모 도시빈민투쟁

  • Post category:사회
You are currently viewing 8.10 광주대단지 사건, 해방 이후 최초의 대규모 도시빈민투쟁

8.10광주대단지사건은 1971년 8월 10일 광주대단지 주민 5만여 명이 정부의 무계획적인 도시정책과 졸속 행정에 반발하여 생존권 확보를 위해 6시간 동안 벌인 도시빈민투쟁으로 과격한 시위를 전개했던 날입니다.

장밋빛 ‘광주대단지건설’

1968년 김현옥 서울시장은 서울시의 무허가 주택(판잣집)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집단 이주할 계획을 세웠는데, 이 계획이 ‘광주대단지 건설’이었습니다. 그리고 곧바로 다음해 5월부터 이주가 시작되었습니다.

그러나 광주대단지는 상하수도, 전기, 도로 등 도시기반시설은 물론 비바람을 피할 수 있는 주택도 지어지지 않은 황무지 벌판이었습니다.

게다가 생계를 이어갈 일자리조차 없었습니다. 당시 언론에는 얼어 죽은 사람, 연탄가스에 질식사한 사람의 기사가 보도되기도 했습니다.

서울시가 강제이주 시킨 무허가 판잣집 주민들

당초 서울시는 강제 이주시킨 철거민들에게 가구당 20평씩 평당 2천원에 분양해주고, 그 대금을 2년 거치 3년 상환토록 했습니다.

게다가 1971년 4월 27일 대통령 선거와 5월 25일 국회의원 선거에서 장밋빛 공약이 남발되어 이곳에는 부동산 투기가 극심해졌습니다.

평당 2천원이었던 땅값은 8천원에서 1만6천원으로 치솟았습니다.

이처럼 토지 투기 붐이 일면서 6천343가구의 전매 입주자가 정착하고 있다는 통계가 나오자 이들에게 땅값을 일시불로 내게 한 데다 취득세, 재산세, 영업세, 소득세 등 각종 조세를 부과하기도 했습니다.

이주민 생업대책도 없이 황무지 벌판으로 쫒아내

이주민의 생업대책도 마련하지 않은 채 자급자족도시로 키우겠다는 정부의 선전만 믿고 전국 각지에서 몰려들어 대부분 실업상태에 빠져있던 주민들.

이 같은 서울시의 조처에 크게 반발, 7월 17일 ‘불하가격시정 대책위원회’를 구성, 불하 가격을 1천500원에서 2천원 사이로 할 것, 세금부과 연기, 긴급구호대책, 취역장 알선 등을 요구했습니다.

그러나 당국이 번번이 이를 묵살하자 8월 10일 오전 11시 주민과의 면담을 약속한 양택식 서울시장 마저 나타나지 않자 극단적 어려움에 처해 있던 격분한 주민들은 시위를 전개한 것입니다.

“배가 고파 못살겠다”, “일자리를 달라”

그날 도시빈민투쟁은 비까지 내리는 상황에서도 주민들은 “배가 고 파 못 살겠다”, “일자리를 달라”, “천원에 매수한 땅 만원에 폭리 말라”는 등의 플래카드를 들고 경찰과 격렬한 충돌을 벌였습니다.

격분한 주민들은 출장소 건물 내부와 관용차, 경찰자 등을 불태우고 파출소를 파괴하는 등 사실상 광주대단지 전역을 장악했습니다.

해방 이후 최초의 대규모 도시빈민투쟁이었던 광주대단지사건을 오후 5시경 서울시장이 주민들의 요구를 무조건 수락하겠다고 약속하면서 6시간 만에 막을 내렸습니다.

이 사건으로 주민과 경찰 100여 명이 다쳤으며, 주민 23명이 구속되었습니다.

‘폭동’, ‘난동’이 아닌 생존권 요구한 빈민투쟁

당시 정부와 언론은 ‘폭동’,’난동‘ 등으로 표현되었지만 이 사건은 주민들이 국민으로서의 정당한 권리를 요구한 것이었습니다.

광주대단지계획은 이러한 국가의 의무 사항이 전혀 고려되지 않은 것이었습니다.

주민들이 봉기한 배경에는 극한적 삶의 고통이 있었으며, 인간의 기본적 존엄과 행복을 추구할 환경이 보장되지 않은 광주대단지의황무지 생활환경이 원인 이었습니다.

필연적으로 일어날 수밖에 없는 주민들의 항쟁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